NATA소개 

NATA (미국 운동선수 트레이너 협회:National Athletic Trainer Association) 

1.      

NATE는 1950년 200명의 회원으로 출발하여 지금은 전세계적으로 3만명의 회원이 있는 단체입니다.
1950년 당시 미국의학협회는 ㅡ단지 90명의 전문트레이너 들만이 대체의학의 전문가로서 급성 혹은 만성의 근골격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경험많고 교육수준이 있는 사람들로 인정하였습니다.
지난 20년동안 전문가들을 양성하였고, 전문가 자격증 시험을 주관하는 단체로 NATABOC를 산하에 두고 각 대학교내의 교과과정과 임상경험등을 객관과하여 어떠한 상황이든지 운동선수들을 보하 관리할 수 잇는 전문가(ATC)을 양성해왔습니다.
오늘날에는 약 18,000여명의 ATC들이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며 NATA를 발전시켜 나아가고 있습니다.
NATA의 본부는 텍사스주(Texas) 달라스시(Dollas)에 있으며 회원들의 재교육(CE:Coutinuing Education), 대정부관계, 대국민홍보 담당등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NATA는 월간뉴스 잡지, 분기별(1년에 4회) 스포츠의학관련 정기잡지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1989년에 설립된 NATA산하, NATABOC 위원회에서 인증한 (Accredited Program)기관과 학과에서 수업받은 것만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학점으로 인정합니다.
이는 매 5년마다 각기관을 검증하는 NOCA(National Commission for Certifiying Agencise) 산하에 있습니다.
NOCA는 총 9명의 위원들로 구성되는데, 이 중 6 명은 각 지역 대표들(미전역을 크게 10개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일반의사대표, 공중의학대표, 교육관련대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기총회
매년 6월중순에 정기총회가 미국내에서 열리는데, 보통 7000명 이상의 NATA 회원들과 250개 이상의 운동용품관련 회사들이 참여하여 정기총회와 임상발표회(Clinical Symposium)가 열립니다.
2003년에는 생루이스(St Louis)에서 열렸고, 2004년에는 매릴랜드주 불티모아에서 6월 15일부터 19일까지 열릴예정이다.
보통 정기총회기간에는 각부분 수상자들에 대한 시상식과 새로운 운동용품, 최신의 스포츠의학 연구자료등이 발표된다.
참고로 본인이 속해있는 조오지아주(Geogia)와 테네시주(Tennessee)는 미국내 10개지역(Distric) 구분 중 남동부지역(South east Distric # ) 즉 9번 지역구에 속해있습니다.


1. NATABOC위원에서 인증한 기관에서 필수과목(6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2. 최소 학사학위 이상의 학위가 필요하다.
3. 심폐소생술 인증서(Cetified CPR, First Aid)
4. NATA회원이면서 NATABOC에서 실시한 시험을 합격한 트레이너(ATC)밑에서 최소 2년에서 최대5년까지 최소 1500시간이상의 인턴쉽 기간을 거쳐야 하고 이를 해당 트레이너가 동의하고 추천해야 한다.
참고사항: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1번 항목과 4번항목에서 부적격하므로 지원이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특히 4번항목은 앞으로 한국에서 실력있는 전문가 그룹을 양성하는데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현재 한국에는 저와 같은 ATC 자격증을 가진분이 몇명이나 있을까요? 다같이 노력해야 하는 분야같군요.


1. 응시 지원서에 소정양식을 기입한 후 공증을 받아야 한다.
2. 필수 6과목에 대한 성적증명서와 강의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3. 1,500시간의 인턴쉽에 대한 공증은 담당트레이너의 사인과 공증이 반드시 첨가되어야 한다.

ATC시험내용
시험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는데 1년의 6회실시하며, 미국내 각지에서 동시에 시작한다.
Part1: Written Exam
Part2: Pratical Exam
Part3: Written Simuation Exam

필기시험: 필기시험은 150 문제를 150분에 실시하며 이는 총 9과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기시험: 이는 대략 6,7개 항목을 최대 30분안에 실시하며 시험관 2명이 입회하여 객관성을 살리기 위하여 녹음기로 음성녹음을 하여 증거자료로 보관합니다.
픽기(실제) 상황시험: 약 9개 항목별로 묻고 답하기 형식으로 구성, 응시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항목으로 여겨진다.

시험의 난이도(001년 시험결과 내용)
필기시험: 총 응시자 5,285명, 합격자 2,316명 합격률 43.82%
실기시험: 총 응시자 3,936명, 합격자 2,384명 합격률 60.57%
상황시험: 총 응시자 4,441명, 합격자 2,431명 합격률 5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