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이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 단어일까요
영어식 표현은 약간씩 다른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Fitness, Health, Wellness, Homeostasis 등등 먼저 Physical Fitness란 여러가지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만
일반적인 의미로는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를 건강과 관련하여 다시 정의 내리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모든 활동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세부사항으로는 심폐기능의 향상, 근육단련정도, 지구력, 유연성, 그리고 체내의 구성요소 등등이 포함된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수술 후 혹은 질병을 경험한 사람이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현재의 몸 상태를 검진하는 것과 일반 운동선수를 혹은 일반인들이 운동 중 가벼운 부상 혹은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몸 상태를 검진하는 것은 많이 다릅니다.
전자는 재활치료 전문의들과 물리치료사들의 영역이고 후자는 스포츠의학분야 관련 종사자들의 영역입니다.
카이로프랙틱 분야는 척추신경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광의적 개념에는 스포츠 의학분야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엄격하게 구분하면 포함되지 않는다고 하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정의하면 부상을 예방하기 위한 적정한 운동수준을 결정하고, 부상 후 재활치료목적의 운동 프로그램(운동처방)을 작성하기 위하여 검사가 필요합니다.
여기에는 반드시 참가자의 현재 건강상태가 나이와 성별에 따라 포준수치를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운동처방, 치료의 동기부여요소, 위험요소의 계층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운동처방이라 함은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고, 고혈압환자, 당뇨병 환자 등등의 만성질환 환자들의 위험요소를 운동을 통하여 감소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개인의 관심정도와 건강에 대한 욕구, 그리고 현재의 건강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합니다.
5대 필수요소: 운동할때의 기본, 집중력, 운동시간, 운동빈도, 활동능력의 발전정도 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Exercise test와 Execise prescription은 분명히 다른점을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운동처방은 반드시 개인별 최대산소 소모량(VO2max)에 대한 자료가 있어야 합니다.
이를 얻기 위해서는 몇가지 검사가 필수입니다.